교통 사고시 대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사고 발생 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다.

 

우리나라 자동차 등록대수는 2015년 기준 약 2100만대다. 2~3명에 한명 꼴로 운전을 하고 있는 셈이다. 그만큼 도로에는 엄청난 수의 차량이 돌아다니고, 그와 비례해 교통사고의 위험 역시 높아졌다. 자기만 잘 한다고 100% 사고를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최고의 운전은 방어운전이라는 말도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그런데 교통사고를 피하지 못했을 때, 즉 사고가 났을 때 '어떻게 해야한다'를 제대로 알려주는 곳이 있을까? 본인 역시 운전면허 필기시험을 볼 때 지나가듯 본게 전부인듯 하다. 그마저도 상당히 임팩트가 적었기 때문에, '진짜 있었나'싶은게 사실이다. 물론, 이후 실기시험이나 도로주행에서도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들어보지도, 배우지도 못했다.
그나마 어렴풋이 아는 것으로 '경찰서에 연락하고 보험사를 부르라'가 일반적인 사고 발생 시 대처방안이 아닐까 싶다.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인명피해의 확인

 

운전 꽤나 한다는 사람들도 사고가 나면 둘 중 한가지에 빠지게 된다. 화가 나거나, 당황하거나다. 조금 과격한 사람이라면 '어딜 보며 운전하느냐'부터 갖은 격한 표현이 나올 것이다. 반대의 경우라면 당황해서 운전대를 놓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높다. 오히려 두려움과 당황스러움에 엑셀을 더 밟는 경우도 있다. 어느 경우가 되었든, 사고 발생 시 일절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과실여부를 떠나서 동승자와 상대 사고차량 탑승자의 '인명'피해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사람의 생명보다 우선시 할 수 있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자신이 고급 슈퍼카고, 상대가 경차일지라도 마찬가지다. 혹여 사람이 다쳤다면 119 112에 신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다행히도 그렇지 않다면 그 다음이 보험사를 부르는 것이다. 보험사에 바로 전화하지 않고 보험 가입을 도와줬던 사람이나 지인에게 연락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과실을 따지는 것은 보험사가 현장에 도착한 이후에 진행해도 늦지 않다. 본인 차량에 블랙박스가 있다면 더욱 그러하다.
과실 여부가 분명하고 상대 혹은 본인이 그것을 인정한다면, 관련 대화를 녹음하고 사고 현장을 촬영해두는 것이 좋다. 이왕이면 사고차량이 모두 보이고(번호판 포함), 주변 도로 환경이 보이게 촬영하는게 좋다.

 

과실에 대해서 상대방과 의견도출이 잘 됐다면 차량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과실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면 보험사 도착 후 현장 촬영을 다시 한번 진행하는 것이 좋다. 물론 직후엔 차량을 이동해야 한다. 보험사 직원의 도착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된다면 위와 같이 안전 삼각대(정식 명칭은 '고장자동차표지')를 설치하고 2차 사고를 방지하고 차량 통행을 원할히 하기 위해 돌아가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안전 삼각대는 도로교통법 66 '고속도로 등 자동차 전용도로에서차량 운행이 어려운 경우 삼각대를설치해야 함'에 의거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부분이다. 최근 출고되는 차량에 모두 기본 물품으로 포함돼 있으나 간혹 노후 차량에는 없는 경우도 있다.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 역시 다반사다
지난 2015 4월 시민교통안전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 운전자 중 삼각대를 보유한 비율은 약 63%, 실제 상황에서 설치해본 비율은 29%에 불과하다. 아직까지 해당 장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간혹 야간용 경광등까지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잘 구비하는 것 보다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전을 한다는 건 이런 것도 알아야 한다는 것


국내 운전면허 시험이 다시 어려워졌다고 하지만, 사견으로는 '아직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운전은 사람을 한번에 죽일 수 있는 발화물질(가솔린/디젤)을 싣고 다니는 수천만원짜리 쇳덩이를 운행한다는 의미다. 돌발사항, 안전, 응급상황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연습이 필수 요소다. 좁은 골목길을 잘 빠져나가고, 언덕에서 시동을 꺼뜨리지 않는 것, 주차를 잘 하는 것이 이 '자격'의 전부가 아니다. 자동차는 이상의 필수품이 됐지만, 국가 공인 자격증으로 운행을 허가하는 부분이라면 더욱 어려워야만 하지 않은가 싶다
 
면허란 '특정한 일을 할 수 있는 공식적인 자격을 행정기관이 허가함'을 의미한다. 면허를 가진 사람이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장비의 기능을 세세히 알지 못하고, 대처하지 못하고 통제가 불가능하다면 면허체계가 잘못된 것이다.
자동차를 정비하고 분해조립 가능한 수준의 내용을 추가하자는 것이 아니다. 빗길과 눈길에서 차량이 돌았을 때,사고가 났을때 등 차량의 통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수준이 필요한 것이다
 
아주 기본적인 것에 대한 강화만 이뤄져도 사고의 비율과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확연히 줄어들 것이다.


 

당신이 알고 싶은 자동차의 모든 정보 <G-CAR>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