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SUV 잔존가치, 국산은 모하비‧수입은 XC90이 가장 높아



현대자동차 팰리세이드의 인기가 중고차 시장에서도 심상찮다. 중고 모델임이도 신차 수준의 가격을 받을 수 있다.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찾는 소비자가 빗발치기 때문이다. 팰리세이드 덕분에 대형 SUV 시장은 덩달아 호황이다.

 

SK엔카닷컴에 따르면 인기 대형 SUV 9종의 잔존가치를 조사한 결과 국산은 기아 모하비, 수입은 볼보 XC90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종 모델의 평균 잔존가치는 63%.

 

잔존가치 조사 대상은 현대 맥스크루즈, 기아 모하비, 쌍용 렉스턴, 벤츠 GLE-클래스, BMW X5, 포드 익스플로러, 지프 그랜드 체로키, 렉서스 RX450h, 볼보 XC902016년식 4WD 모델로 대형 SUV가 미출시되거나 매물이 적은 경우에는 같은 브랜드의 준대형 SUV로 대체했다.

 

볼보 XC90BMW X5, 벤츠 GLE-클래스, 렉서스 RX450h와 함께 신차가가 9,000만 원 안팎인 프리미엄 브랜드 SUV 그룹에 속해 있다. 볼보 XC90의 판매는 지난해 전년대비 50%에 가까운 성장을 기록했다. 이같은 신차 시장의 인기가 중고차 시세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대상 모델 중 유일한 하이브리드 SUV인 렉서스 RX450h의 잔가율은 68%로 수입차 중 두번째로 높았다. 이 밖에 벤츠 GLE의 잔가율은 64%, BMW X5의 잔가율은 58%.

 

국산 대형 SUV 중에서는 기아 모하비의 잔가율이 70%로 가장 높았다. 현대 맥스크루즈의 잔가율은 단종 모델임에도 66%로 평균보다 높았다. 렉스턴 W의 잔가율은 56%로 국산 대형 SUV 중 가장 낮았다. 2017G4 렉스턴으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져 잔존가치가 평균보다 낮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 브랜드 대형 SUV의 잔존가치는 모두 평균보다 낮았다. 포드 익스플로러와 지프 그랜드 체로키의 잔가율은 각각 57%, 55%를 기록했다.


당신이 알고 싶은 자동차의 모든 정보 <GCAR>
이병주 에디터 gcarmedia@gcar.co.kr




관련글


2019/03/20 - [업계 소식] - 현대‧기아 무인 택시 나올까? 현대모비스, 러시아와 개발 박차

2019/03/19 - [자동차 시승기] - 내 차 타고 제주도 여행, 벨로스터 N 20대가 바다를 건넜다

2019/03/19 - [업계 소식] -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발표회 개최

2019/03/18 - [업계 소식] - 연매출 256억 유로…포르쉐, EV 양산 본격화

2019/03/18 - [업계 소식] - 서울국제마라톤, BMW X시리즈 서포트 ‘성료’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