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력 있을까? 서울 상암에 세계최초 자율주행시험장 구축


이르면 올해 6, 서울에 세계 최초 자율주행 전용 시험장이 생긴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서울특별시(시장 박원순)와 협력해 상암 지역에 세계 최초 5G 융합 자율주행 전용시험장을 조성하고 5G 자율주행버스를 시범 운행할 계획이다. 5G 융합 자율주행 시험장은 노변센서, 통신장치, 자율주행 관제시스템을 구축한 전용시험장이다.

 

이 사업은 국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실증사업의 일환으로 세부계획은 다음과 같다.

 

세계 최초 5G 기술로 자율주행 지원 전용시험장 조성

 

국토교통부는 서울시와 함께 오는 6월까지 상암 DMC 지역에 자율주행 전용시험장을 조성한다.(주관사업자: SK텔레콤)

 

전용시험장에는 자율주행지원을 위한 노변센서, V2X 통신설비, 관제시스템 등 스마트인프라(C-ITS)를 구축한다. 고정밀지도(HD), 차량정비·주차공간, 전기차 충전소 및 휴게· 사무공간 등도 함께 구축·제공된다특히, V2X 구현을 위한 통신 중 하나인 5G 기술은 LTE에 비해 20배 이상 빠른 초고속, 초저지연(0.01)의 장점이 있어 자율주행 시험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전용시험장은 자율주행 실증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편의시설을 24시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운영된다.

 

특히, 서울시는 경찰청과 협조하여 정기 도로통제(주말) 등을 통해 실제도로 운행이 어려운 새싹기업 등 초기 자율주행 업체들도 전용시험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또한, SK텔레콤과 KT에서 자체 제작한 5G 자율주행버스가 주 3회 이상 시범 운행될 예정이다아울러, 미래 교통기술을 시연하고 교통 청사진을 공유하기 위해 자율주행 페스티벌도 개최할 예정이다.

 

스마트인프라(C-ITS) 기반 대중교통(버스) 안전서비스도 실증한다우선, ‘대중교통 올인원(All-in-One) 통신단말기*’를 버스에 장착하고, ‘20년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도로를 중심으로 총 121.4km 구간에 스마트인프라(통신기지국, 노변센서 등)를 구축한다.

 

단말기·스마트인프라는 실시간으로 소통한다. 버스운전자에게 10.1인치 대형 스크린을 통해 전방버스와의 충돌위험, 전방 교통신호, 교차로 사고위험, 무단횡단 보행자, 정류소 혼잡 등을 제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승차와 동시에 탑승한 노선번호와 차량번호가 승객의 스마트폰으로 안내되고, 스마트폰으로 내릴 정류소만 선택하면 버스운전자에게 자동 전달되는 편의 서비스도 제공된다.

 

스마트폰을 통해 승용차에도 교통안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20년 상반기에는 SK텔레콤과 함께 T맵에도 교차로 사고위험, 정류소 근처 버스 급정거 등 일부 교통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으로, T맵 사용자라면 어떠한 장치의 별도 장착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교통안전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1912월부터 스마트인프라(C-ITS) 관련 정보를 무료 개방해 민간의 장비 및 서비스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당신이 알고 싶은 자동차의 모든 정보 <GCAR>
이병주 에디터 gcarmedia@gcar.co.kr




관련글


2019/01/17 - [신차 정보] - BMW, 부분변경 7시리즈 공개…상반기 출격

2019/01/17 - [자동차 시승기] - [Pho스팅]월급쟁이가 타본 르반떼 GTS

2019/01/16 - [신차 정보] - '공간 활용성 甲' 벤츠 밴, 신형 뉴 스프린터 출시

2019/01/15 - [업계 소식] - 폭스바겐, 지난해 624만 판매…유럽은 Up, 아시아는 Down

2019/01/15 - [신차 정보] - 혼다, 반자율주행 탑재한 어코드 터보 출시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